파일을 원하시면 이메일 주소를 보내주세요~
교육현상의 철학적 이해
Contents
교육현상의 이해 관점
예) 학생
심리학적 관점:
신체적, 심리적 발달에 관심, 객관적인 사실 중시, 일반적인 법칙성, 관찰, 서술, 설명.
교육철학적 접근:
학생발달을 전체로 파악, 영향을 주는 요소의 해석, 학생존재의 본질, 실존적 상황과 그 의미를 이해
미성숙한 존재
배우는 사람
=> 항상 배움이 필요한 존재
미성숙한 사람
=> 성숙함, 판단력을 필요로 하는 존재
발달하는 존재
발달: 성숙+성장
육체, 정신적, 도덕적 발달을 의미
발달은 일정도식에 의해 이루지는 것만이 아닌 하나의 창조적인 작업
=> 학생의 발달은 자연적인 것이 아닌 성취하는 것
이를 위해 부모와 교육자의 도움이 전적으로 필요
교육적 존재
칸트:
인간이란 교육을 필요로 하는 유일한 존재
다른 동물과의 차이점:
환경과 후천적인 교육에 의한 습득
학생 존재가 성숙한 인간으로 성장, 발달하기 위해서 교육이 불가피
=> 교육은 학생존재의 본질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
감각적 존재
성장 세대와: 기성세대 = 감각:이성
감각기관: 성장 세대가 사물을 파악하기 위한 수단, 단지 사용하는 것이 아닌 감각기관을 통해 바르게 판단하는 법을 배움
=> 루소의 자연주의 교육
직관교육과 시청각 교육이 중요한 이유
활동적 존재
학생의 활동에서 중요한 매개체는 신체
인간세계를 경험하는 기초(체험을 바탕으로 사고하고 인식)
자신을 이해하는 기초 (자신의 능력과 무능력을 확인)
의미를 전달하는 수단
=> 신체는 생물학적인 대상이 아닌 인간의 인격을 구성하는 요소
=> 루소:
지력을 위해서 이를 지배할 체력이 중요, 뛰게, 소리지르게, 일, 행동
탐구적 존재
사물 의 파악에 있어서의 끈임 없는 호기심
=> 의미부여 작업, 의미 해석 작업.
창조적인 의미 부여:
인격으로서의 자신의 세계 구축
탐구심의 촉진이 중요
루소:
12세 때 학생 존재의 활동성을 바탕으로 지구와 천체, 물리적 세계, 타인과의 관계에 대한 탐구
교사
교사의 의미
가르치는 사람, 지식전수자
훌륭한 교사란?
교사의 이중적 삶: 어른세계와 어린이의 세계
어른으로서의 교사: 기성세대의 가치간 삶의 태도, 지식 전달
어린이 세계에서의 교사: 어린이의 삶을 인도, 권익을 대변
교사의 본질적 과제(책임과 의무)
기성세대의 모든 것을 전수
성장세대의 책임자로서, 인도, 대변
과제 수행을 위한 권한
자유와 자율성:
교육 목적실현 위한 교육행위와 수업행위에서의 자유 <= 교육적 책임의 동반
권위의 부여(교육적 관계 안에서 교육적 의미)
복종자, 권위의 내용: 규범과 가치
체벌(교육적 의미를 지닐 때)
학교
학교의 사회적 기능:
자질 부여:
성장 세대들에게 필요한 자질을 갖추게 함
선발과 분배:
능력에 따른 선발과 배치
정당화 기능:
기존의 사회 가치와 규범의 내면화로 사회질서유지
교육철학적 학교 이해
기성세대가 어린이를 교육시켜 어른의 세계로 편입하도록 하는 기관
기성세대의 가치관, 삶, 세계관의 교육 내용화
어린이를 위한 행복한 공간
어린이의 삶을 인도하는 곳
지식
지식: 앎
지>덕>체, or 덕>체>지
앎: 대상의 본질을 파악
편견, 선입견, 피상적 지식과 구분
이해력 종합력, 사고력과 관련
=> 인식
인식:
경험하고 체득된 정보적, 암기적 지식과 구별
I know you의 의미?
지식 교육 반성의 필요성
시험
시험
본질적 의미: 교육적 의미
가르침에 대한 평가
학습의 정도를 파악하여 내용과 방법에의 교육적 도움 제공
서열화시키는 시험의 의미
=> 사회적 필요성의 충족
교육현상의 다양한 관점
현상학적, 해석학적 관점:
본질적 의미와 과제의 분석
변증법적 관점:
교육현상을 보는 다양한 시각의 인정
비판적 관점:
왜? 라는 문제의 제기
인간학적 관점:
교육과 관련된 현상의 인간학적 의미에 대한 물음
예) 학교
본질적 의미: 성장 세대를 위해 만든 기관
교사중심, 지식전달중심, 입시준비기관(X)
변증법적 관점:
지식중심, 교사중심, 학교교육의 사회적 기능의 강조, 자아실현 권익보호의 기능 약화
비판적 관점:
임시기관으로의 학교에 대한 비판
인간학적 관점:
인권과 관련(학습내용, 방법, 친구관계)
학교교육에서의 비 인간화 현상에 대한 인간화의 추구
교육 현상의 철학적 관점:
현상학적인 관점의 교육의 본질, 과제를 밝힘
변증법적인 관점을 통해 균형과 조화 추구
비판적 관점에서의 잘못된 것의 올바름으로의 회귀
인간학적인 관점을 통한 학교교육의 인간화 가능성추구
=> 교육철학적 관점은 가치 중립적이 아닌 교육현상에 대한 의미를 묻고 잘못된 것을 비판하고 개혁하는 것